암튼 이번 블로깅의 주제는 제 졸작이구요. 한 2~3편에 걸쳐서 올려볼까 합니다. 디자인 전시회지만 나름 '디자인+소프트웨어+하드웨어' 가 하나된 대형 프로젝트라 ...누군가 그러더군요...;;; 이런저런것 많이 보시다 보면 분명 개발하시는데 아이디어 짜시는데도 많은 도움이 될꺼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라는 생각에서 이러한 내용으로 블로깅을 해봅니다. 시그장님 괜찮죠?
그럼 들어갑니다!
free your mind #1
방식에서 차이점을 주고자 목표한 프로젝트이다.
방식은 간단하다. :) 사용자는 앞에놓인 버튼을 사운드에 맞춰 자신만의 느낌으로 눌러본다.
눈앞에는 다양한 영상이 펼쳐진다. 즉 다시말해서 사용자는 음악을 양념삼아 버튼을 누르는것
만으로 영상을 제작한다. 일종의 '놀이' 개념으로 다가가고자 하였다.
다음은 작품 프리젠테이션...
초기에는 브랜딩을 배제하고 작품 그자체로 의미를 두려고 하였으나 교수님과의 면담을 통해서
MTV라는 브랜딩을 하기로 결정되었다. 대학생이라는 나름의 '타이틀'을 걸고 아트와 디자인사이에서
줄타기를 시도하려 했었던 건방진(?) 생각은 결국 교수님과의 타협으로 끝나고 만 것이다.
하지만 작품의 순수의도는 절대 변하지 않는다. 다양한 음악을 다양한 시각으로 해석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사용자가 이 작품을 통해 흥을 돋굴수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생각한다.
이번시간에는 포인트 연산 중 두 프레임간의 산술연산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
많이 어려운 내용은 아니지만, 실제로 많이 사용되는 기본중 기본이라고 하니 자세히 알아두는게 좋겟습니다-
구현된 결과는 파일로 첨부 해 봅니다.
(글을 수정하면 동영상도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직까지 만족할만한 예쁜동영상이 안나와서 ㄷㄷㄷ)
픽셀단위의 산술연산을 할 경우는 상수에 의한 연산과 마찬가지로 ..
기본 산술연산에 있는 네가지 + (덧셈) - (뺄셈) * (곱셈) / (나눗셈) 가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산술연산시 상수값을 더하거나 빼는 것처럼
같은 위치의 픽셀의 밝기 값에 같은 위치의 픽셀의 밝기를 더하거나 빼서
새로운 영상을 만드는 처리방법입니다.
서로다른 두 영상의 합(SUM)
원숭이와 동그라미 영상의 합
레나와 원 영상의 합
서로 다른 두 영상내에서 각각의 대응 픽셀의 밝기 값을 합해서 나온 결과 영상입니다.
물론 합한후의 픽셀의 밝기 값이 255를 초과하는 경우 255의 값을 가지게한 saturation기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이를 통하여 원하는 부분의 그림만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이미지 추출에 많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서로 다른 두 연산의 차 (SUB)
빼기연산을 이용한 불량검사
빼기연산을 이용한 불량검사2
빼기연산을 이용한 움직임 검출
실제로 많이 사용한다고 하는 빼기연산의 예들입니다.
처음과 두번째 그림처럼 어떠한 물체의 결함을 찾기 위해서 많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또한 침입자 검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산을 하여도 침입자가 발생하엿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빼기 연산을 통하여 결함을 찾거나, 침입자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촬영하는 카메라의 이동이 없어야 하는것!.
만약 카메라 자체의 이동이 있다면 빼기연산을 하여도 결과가 무지 이상하게 나옵니다. -_-;;;
(적당한 이미지를 찾지못해서 이미지 첨부는.. 수정으로 미루겠습니다. ㅠ)
곱하기, 나누기 연산-_-ㅋ
물론 상수를 이용한 산술연산처럼 두 이미지에서도 곱하기 나누기 연산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나온 결과는 이러합니다...
두 이미지 같의 곱셈연산
두 이미지 간의 나눗셈연산
만..
적당히,, 좋은 예의 이미지를 찾지 못하였기 때문에,, 구현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실 이 연산들을 어디에 사용해야할 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추후에 어디에 사용되는 연산인고-_-; 를 알게되면 이 내용을 초금 수정할 예정.....입니다..
p.s 앗 한가지 신기한것
두 프래임간의 덧셈 연산인데,
이를 통하여 손을 거쳐서 뒷모습이 보이는 모습을 볼 수 있지 않은가요??ㅋ
... 저만 신기하다면 쿨럭..;;;
구현된 내용의 소스는 이러합니다.
어렵지 않아서 쉽게 이해하 실 수 있으실 겁니다.